제113호(2017.04.28)
 지난호 보기    
SNUNOW 174호 (2020.12.16) SNUNOW 173호 (2020.12.02) SNUNOW 172호 (2020.11.18) SNUNOW 171호 (2020.11.04) SNUNOW 170호 (2020.10.21) SNUNOW 169호 (2020.10.07) SNUNOW 168호 (2020.09.16) SNUNOW 167호 (2020.09.02) SNUNOW 166호 (2020.08.05) SNUNOW 165호 (2020.07.08) SNUNOW 164호 (2020.06.17) SNUNOW 163호 (2020.06.03) SNUNOW 162호 (2020.05.20) SNUNOW 161호 (2020.05.13) SNUNOW 160호 (2020.04.29) SNUNOW 159호 (2020.04.08) SNUNOW 158호 (2020.03.25) SNUNOW 157호 (2020.03.04) SNUNOW 156호 (2020.02.19) SNUNOW 155호 (2020.02.05) SNUNOW 154호 (2020.01.29) SNUNOW 153호 (2019.12.18) SNUNOW 152호 (2019.12.04) SNUNOW 151호 (2019.11.20) SNUNOW 150호 (2019.11.06) SNUNOW 149호 (2019.10.23) SNUNOW 148호 (2019.10.02) SNUNOW 147호 (2019.09.18) SNUNOW 146호 (2019.09.04) SNUNOW 145호 (2019.08.21) SNUNOW 144호 (2019.08.07) SNUNOW 143호 (2019.07.17) SNUNOW 142호 (2019.07.10) SNUNOW 141호 (2019.06.26) SNUNOW 140호 (2019.06.12) SNUNOW 139호 (2019.05.29) SNUNOW 138호 (2019.05.15) SNUNOW 137호 (2019.05.01) SNUNOW 136호 (2019.04.17) SNUNOW 135호 (2019.04.01) SNUNOW 134호 (2019.02.28) SNUNOW 133호 (2019.01.30) SNUNOW 132호 (2018.12.27) SNUNOW 131호 (2018.11.29) SNUNOW 130호 (2018.10.30) SNUNOW 129호 (2018.08.30) SNUNOW 128호 (2018.07.30) SNUNOW 127호 (2018.06.29) SNUNOW 126호 (2018.05.31) SNUNOW 125호 (2018.04.30) SNUNOW 124호 (2018.03.30) SNUNOW 123호 (2018.02.28) SNUNOW 122호 (2018.01.31) SNUNOW 121호 (2017.12.29) SNUNOW 120호 (2017.11.29) SNUNOW 119호 (2017.10.30) SNUNOW 118호 (2017.09.27) SNUNOW 117호 (2017.08.31) SNUNOW 116호 (2017.07.28) SNUNOW 115호 (2017.06.30) SNUNOW 114호 (2017.05.31) SNUNOW 113호 (2017.04.28) SNUNOW 112호 (2017.03.29) SNUNOW 111호 (2017.02.22) SNUNOW 110호 이전

■ 연구성과

자연대 지구환경과학부 연구팀, 광어 기생충 제거하는 해양 단세포 생물 발견
2017.04.25

지구환경과학부 정해진 교수님께서 광어 기생충을 제거하는 해양 단세포 생물을 발견하셔서 제품 상용화를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한다는 기사입니다. 아래는 "국민일보"의 2017년 4월 10일 기사 내용입니다.

 

양식 넙치(광어) 폐사의 주요 원인인 기생충을 제거하는 해양 단세포 생물이 발견됐다. 양식 어가의 피해를 줄이고 수산물 안전성도 향상될 전망이다.

 

해양수산부는 정해진(사진) 서울대 교수가 이끄는 서울대·군산대 연구팀이 광어 기생충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인 해양 ‘와편모류’를 발견했다고 10일 밝혔다. 해수부가 지난해부터 진행한 ‘해양 와편모류 증식 및 병원성 기생충 제어 기반기술 개발 연구’의 성과다.

 

와편모류는 2개의 편모로 헤엄치는 단세포 생물이다. 정 교수 연구팀은 와편모류 ‘알렉산드리움 엔더소니’를 일정 농도 이상으로 배양해 기생충인 스쿠티카충에 주입한 결과 기생충이 사멸하는 것으로 파악했다. 광어 치어를 대상으로 한 안전성 실험도 성공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해만 4만1636t의 양식 광어가 생산됐다. 전체 양식 어류 생산액의 59%(5343억원)를 차지할 만큼 광어 양식 비중이 크지만 매년 기생충으로 500억원 이상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해수부는 이번에 새로 발견한 와편모류를 활용해 광어 양식장에 보급할 기생충 제어제를 개발하고, 2022년까지 제품 상용화를 위한 후속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저명 학술지인 'Harmful Algae'의 3월호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4/10/0200000000AKR20170410032300030.HTML?input=1195m

 

(국민일보)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727284&code=11110000&cp=nv

 

(뉴스1)

http://news1.kr/articles/?2962052

■ FOCUS

■ COVID-19 소식

■ 캠퍼스 주요 소식

■ 연구성과

■ 안내

■ 기부소식 및 동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