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9호(2020.10.07)
 지난호 보기    
SNUNOW 174호 (2020.12.16) SNUNOW 173호 (2020.12.02) SNUNOW 172호 (2020.11.18) SNUNOW 171호 (2020.11.04) SNUNOW 170호 (2020.10.21) SNUNOW 169호 (2020.10.07) SNUNOW 168호 (2020.09.16) SNUNOW 167호 (2020.09.02) SNUNOW 166호 (2020.08.05) SNUNOW 165호 (2020.07.08) SNUNOW 164호 (2020.06.17) SNUNOW 163호 (2020.06.03) SNUNOW 162호 (2020.05.20) SNUNOW 161호 (2020.05.13) SNUNOW 160호 (2020.04.29) SNUNOW 159호 (2020.04.08) SNUNOW 158호 (2020.03.25) SNUNOW 157호 (2020.03.04) SNUNOW 156호 (2020.02.19) SNUNOW 155호 (2020.02.05) SNUNOW 154호 (2020.01.29) SNUNOW 153호 (2019.12.18) SNUNOW 152호 (2019.12.04) SNUNOW 151호 (2019.11.20) SNUNOW 150호 (2019.11.06) SNUNOW 149호 (2019.10.23) SNUNOW 148호 (2019.10.02) SNUNOW 147호 (2019.09.18) SNUNOW 146호 (2019.09.04) SNUNOW 145호 (2019.08.21) SNUNOW 144호 (2019.08.07) SNUNOW 143호 (2019.07.17) SNUNOW 142호 (2019.07.10) SNUNOW 141호 (2019.06.26) SNUNOW 140호 (2019.06.12) SNUNOW 139호 (2019.05.29) SNUNOW 138호 (2019.05.15) SNUNOW 137호 (2019.05.01) SNUNOW 136호 (2019.04.17) SNUNOW 135호 (2019.04.01) SNUNOW 134호 (2019.02.28) SNUNOW 133호 (2019.01.30) SNUNOW 132호 (2018.12.27) SNUNOW 131호 (2018.11.29) SNUNOW 130호 (2018.10.30) SNUNOW 129호 (2018.08.30) SNUNOW 128호 (2018.07.30) SNUNOW 127호 (2018.06.29) SNUNOW 126호 (2018.05.31) SNUNOW 125호 (2018.04.30) SNUNOW 124호 (2018.03.30) SNUNOW 123호 (2018.02.28) SNUNOW 122호 (2018.01.31) SNUNOW 121호 (2017.12.29) SNUNOW 120호 (2017.11.29) SNUNOW 119호 (2017.10.30) SNUNOW 118호 (2017.09.27) SNUNOW 117호 (2017.08.31) SNUNOW 116호 (2017.07.28) SNUNOW 115호 (2017.06.30) SNUNOW 114호 (2017.05.31) SNUNOW 113호 (2017.04.28) SNUNOW 112호 (2017.03.29) SNUNOW 111호 (2017.02.22) SNUNOW 110호 이전

■ 연구성과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연구팀, 2차원 물질기반 세계최고효율의 발광소자 개발
2020.10.04

- 차세대 광전자 회로에 적용 가능
- 다중동작모드 가능한 발광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이관형 교수, 권준영 박사와 논문 커버 이미지▲이관형 교수, 권준영 박사와 논문 커버 이미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은 2차원 재료 이종 구조로 게이트 전압 조절과 다중 동작 모드가 가능한 발광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다중동작모드로 인해 3진법 소자로 활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차세대 광전자 회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세계 최고 효율의 발광소자다.

 

이 소자는 지금까지 존재하는 2차원 물질 기반 발광소자 중에서 최고의 발광효율을 기록했으며 게이팅(게이트를 통해 채널 내에 전압을 인가하는 일)으로 다중 모드의 동작이 가능함을 증명하여 세계적인 과학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에 2020년 9월 온라인 출판되었으며, 학술지 표지 이미지로 선정되었다.

 

2차원 반도체 물질인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TMD)은 엑시톤(전자와 홀이 결합되어 있는 입자)의 높은 결합에너지와 원자단위로 얇은 두께를 갖기 때문에 높은 효율의 빛 방출이 가능하다. 또한 이 물질들의 전기적 특성도 매우 우수해 차세대 광전자 소자를 위한 유망 재료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TMD에 전자와 홀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주입하는 것이 어려워 이를 기반으로 제작된 발광 소자들은 낮은 발광 효율을 보여왔다.

 

이관형 교수팀과 고려대 KU-KIST 융합대학원 이철호 교수팀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전계제어 도핑이 가능한 그래핀을 전극으로 사용하고, 전자와 홀의 수송이 모두 가능한 양극성 TMD의 한 종류인 단일층 WSe2를 사용하여 2차원 이종 구조 기반 다중 동작 모드의 고효율 발광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Light emitting field effect transistors)를 개발하였다.

 

금속과 반도체를 접합시키면 둘 사이에 큰 에너지 장벽이 필수적으로 생기는데, 금속성을 지니고 있는 그래핀과 반도체인 WSe¬2 사이에도 예외는 아니다. 이 교수팀은 이 장벽을 전자와 정공을 선택적으로 주입시킬 수 있는 키로 활용하였다. 그래핀이 외부 전계에 의해 도핑이 가능하므로, 이 장벽 또한 조절이 가능해져 때로는 전자에 대한 장벽을 높이거나 홀에 대한 장벽을 높여 반대 전하가 주입되는 것을 차단하였다.

 

그러므로 두 그래핀 전극에서 각각 WSe2에 들어오는 전자와 홀의 밀도를 같게 만들어 최적의 발광 환경을 조성할 수 있었고, WSe2 발광층에 주입되는 전자, 정공 수를 최적화하여 상온에서 높은 발광 효율을 달성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제어를 통해 빛의 발광과 전류의 흐름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차세대 광전자 회로에 적용 가능하다.

 

이관형 교수는 이번 성과에 대해 “5년 간의 오랜 연구를 통해 그래핀과 같은 2차원 물질로만 광전자소자를 구현하고 그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었습니다. 그래핀의 일함수 제어를 통한 2차원 물질로만 이루어진 광전자 소자는 다양한 기능을 함께 구현할 수 있어 차세대 광전자 회로에서 사용할 수 있어 미래 소자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합니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출판 논문
Multi-operation mode light-emitting field-effect transistors based on van der Waals heterostructure.

 

참여 연구진
권준영(연세대, 현 삼성종기원), 신준철∙류희제(서울대), 이재윤(고려대), 서동제(미네소타대) Kenji Watanabe∙Takashi Taniguchi(국립재료과학연구소, 일본) 김영덕(경희대), James hone(컬럼비아대), 이철호(고려대, 교신저자) 이관형(서울대; 교신저자)

 

자료제공 : 재료공학부(02-880-8366)

 

■ FOCUS

■ COVID-19 소식

■ 캠퍼스 주요 소식

■ 연구성과

■ 안내

■ 기부소식 및 동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