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1호(2017.02.22)
 지난호 보기    
SNUNOW 174호 (2020.12.16) SNUNOW 173호 (2020.12.02) SNUNOW 172호 (2020.11.18) SNUNOW 171호 (2020.11.04) SNUNOW 170호 (2020.10.21) SNUNOW 169호 (2020.10.07) SNUNOW 168호 (2020.09.16) SNUNOW 167호 (2020.09.02) SNUNOW 166호 (2020.08.05) SNUNOW 165호 (2020.07.08) SNUNOW 164호 (2020.06.17) SNUNOW 163호 (2020.06.03) SNUNOW 162호 (2020.05.20) SNUNOW 161호 (2020.05.13) SNUNOW 160호 (2020.04.29) SNUNOW 159호 (2020.04.08) SNUNOW 158호 (2020.03.25) SNUNOW 157호 (2020.03.04) SNUNOW 156호 (2020.02.19) SNUNOW 155호 (2020.02.05) SNUNOW 154호 (2020.01.29) SNUNOW 153호 (2019.12.18) SNUNOW 152호 (2019.12.04) SNUNOW 151호 (2019.11.20) SNUNOW 150호 (2019.11.06) SNUNOW 149호 (2019.10.23) SNUNOW 148호 (2019.10.02) SNUNOW 147호 (2019.09.18) SNUNOW 146호 (2019.09.04) SNUNOW 145호 (2019.08.21) SNUNOW 144호 (2019.08.07) SNUNOW 143호 (2019.07.17) SNUNOW 142호 (2019.07.10) SNUNOW 141호 (2019.06.26) SNUNOW 140호 (2019.06.12) SNUNOW 139호 (2019.05.29) SNUNOW 138호 (2019.05.15) SNUNOW 137호 (2019.05.01) SNUNOW 136호 (2019.04.17) SNUNOW 135호 (2019.04.01) SNUNOW 134호 (2019.02.28) SNUNOW 133호 (2019.01.30) SNUNOW 132호 (2018.12.27) SNUNOW 131호 (2018.11.29) SNUNOW 130호 (2018.10.30) SNUNOW 129호 (2018.08.30) SNUNOW 128호 (2018.07.30) SNUNOW 127호 (2018.06.29) SNUNOW 126호 (2018.05.31) SNUNOW 125호 (2018.04.30) SNUNOW 124호 (2018.03.30) SNUNOW 123호 (2018.02.28) SNUNOW 122호 (2018.01.31) SNUNOW 121호 (2017.12.29) SNUNOW 120호 (2017.11.29) SNUNOW 119호 (2017.10.30) SNUNOW 118호 (2017.09.27) SNUNOW 117호 (2017.08.31) SNUNOW 116호 (2017.07.28) SNUNOW 115호 (2017.06.30) SNUNOW 114호 (2017.05.31) SNUNOW 113호 (2017.04.28) SNUNOW 112호 (2017.03.29) SNUNOW 111호 (2017.02.22) SNUNOW 110호 이전

■ 연구성과

보건대학원 고광표 교수팀, 비만 여성 질내 박테리아 유전 밝혀
2017.02.22

 

질 내 박테리아가 유전돼 여성 비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고광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팀은 여성 생식기 내 미생물집단이 유전 영향을 받고 그중 특정 박테리아가 여성 비만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혀냈다.

 

연구팀이 밝힌 해당 박테리아는 '프리보텔라'로 질 내 미생물 중 잠재적 유해균에 해당한다. 프리보텔라가 많아지고 유익균인 락토바실러스가 줄어들면 다른 요인과 함께 세균성 질염 등 여성 질환을 유발한다.

 

연구팀은 여성 생식기 내 미생물집단의 유전적 영향에 주목했다. 인체 유전인자의 질 내 박테리아에 대한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유전적 요인을 알아보는 최적 연구 대상인 한국인 여성 쌍둥이를 포함한 542명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유전자 연관성이 가장 높은 일란성 쌍둥이의 질 내 미생물집단이 제일 유사했다. 이는 인체 유전에 의해 질 내 미생물집단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질 내 미생물집단 중 하나인 프리보텔라 박테리아는 락토바실러스와 함께 인체 유전적 요인을 가장 많이 받았다. 특히 인체 면역유전자 중 하나인 'IL5'의 단일유전자 변이에 따라 프리보텔라 존재 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프리보텔라가 비만에 영향을 줄 가능성을 중점 제시했다. 12주 고지방 식이요법으로 비만을 유도한 쥐에게서 프리보텔라가 증가하는 것을 알아낸 것이다. 특히 비만을 유도한 쥐의 질 내 미생물을 일반 쥐로 이식시키면 비만이 될 가능성이 있는 지표로 살펴볼 수 있는 내독소혈증(혈류에서 박테리아 내독소가 생기는 현상으로 비만 등 대사성 질환을 유발)이 나타났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프리보텔라와 같은 질 내 미생물이 비만 등 대사성 질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걸 밝혀낸 셈이다.

 

고 교수는 "향후 질염이나 조산 등 질환에 있어 미생물 군집유전체의 특성에 기반한 맞춤형 치료제 개발에 이번 연구 결과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성 비만은 아이의 지적 능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성인 비만에 대한 학계 연구가 관심을 끌고 있다. 미국 국립보건원 산하 유니스 케네디 슈라이버 아동건강 및 인간발달 국립연구소(NICHD) 소속 연구원들은 최근 미국 뉴욕주에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출산한 산모 5000여 명이 낳은 아이들에 대해 생후 4개월째에 첫 발달 검사를 한 후 만 3세가 될 때까지 총 7차례 검사를 했다.

 

산모들은 이번 조사에 참여할 때 임신 전후의 본인 체중·건강정보와 함께 배우자 혹은 동거 파트너의 체중을 연구진에게 제공했다.

 

조사 결과 비만 산모의 아이들은 운동신경 미세조정에 관한 지표 검사에서 기준에 미달할 확률이 정상 체중 산모의 아이들보다 70% 가까이 높았다.

 

비만 아버지를 둔 아이들은 타인과 얼마나 잘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인·사회 영역의 검사에서도 기준에 미달할 확률이 정상 체중 아버지를 둔 경우보다 75% 높았다.

 

특히 부모가 모두 비만인 아이들은 검사 중 문제 해결 영역에서 기준에 미달할 확률이 정상 체중 부모를 둔 아이들의 거의 3배에 이르렀다. 물론 부모 비만이 아이의 발달 지연을 초래할 수 있는 정확한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파악되지 않고 있다.

 

다만 논문 저자들은 동물실험에서 임신 중 비만이 염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 때문에 태아 뇌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지적했다.

 

■ FOCUS

■ COVID-19 소식

■ 캠퍼스 주요 소식

■ 연구성과

■ 안내

■ 기부소식 및 동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