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해 긴급한 심정지 환자에게 도움을 주는 심장제세동기(AED)를 배치할 최적지를 찾는 기술이 개발됐다.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유기윤 교수팀은 AED의 실질적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적정 위치모델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AED는 심정지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가해 심장을 정상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응급의료기구다. 일반인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어 2007년부터 대형 건물이나 지하철 등 공공장소에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했다. 문제는 대부분 사람이 설치 장소를 정확히 모르는 데다 설치 장소도 많이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곳을 선택했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2014년 서울 관악구 지역의 급성 심정지 사건 발생지와 AED 실제 설치 위치를 파악했다. 이를 이용해 현재 AED 배치의 문제점을 찾아 최적 배치 지역과 추가 배치 방안을 도출하는 공간최적화 모델을 찾아냈다. 이를 토대로 심정지 환자 위험군으로 분류되는 노인층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심정지 위험지역으로 판단해 해당 지역에 수요를 늘리고 AED가 쉽게 눈에 띌 수 있는 장소를 선정했다. 공간최적화 모델을 활용하면 현재보다 심정지 환자 소생 가능성이 25% 이상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