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사람의 얼굴 표정을 읽거나 감정을 파악하지 못하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자폐증) 아동'에게 소셜 로봇을 사용하면 병원 의료진과 동일한 치료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센서와 카메라를 장착한 소셜 로봇이 새로운 치료대안으로 제시된 것이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유희정 교수팀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성기 박사 연구팀은 만 4~7세 자폐증 아동 15명에게 소셜 로봇 치료를 진행해 이같은 효과를 확인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팀은 아동 15명 중 8명을 무작위로 뽑아 4개월간 소셜 로봇으로 8회에 걸쳐 자폐증을 치료했다. 나머지 7명은 동일한 기간에 의료진으로부터 일반적인 치료를 받도록 했다.
연구결과, 자폐증 아동이 상대방의 눈을 맞춘 비율이 로봇치료그룹이 치료전 20%에서 치료 후 78%로 상승했다. 이는 의료진그룹이 17%에서 74%로 상승한 것과 비슷한 수준이다. 자폐증 아동이 감정을 인식하는 정확도 역시 로봇치료그룹이 첫 치료에서 16%이던 것이 8회 치료를 끝난 후에는 83%로 상승했다. 의료진그룹도 14%에서 90%로 상승하는 효과를 보였다.
자폐증 아동들은 유진로봇에서 개발한 '아이로비큐'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가 만든 '카보'를 통해 치료를 받았다. 소셜 로봇은 자폐증 아동에게 인사를 건네며 얼굴 표정을 바꿔가며 기쁨과 슬픔 같은 감정을 알아챌 수 있는지 평가한다. 환자가 눈을 맞추고 로봇이 나타내는 감정이 무엇인지 올바로 대답하면 동요를 부르며 춤을 추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보상하는 방식으로 치료를 진행한다.
유희정 교수는 "실험에 참가한 자폐증 아동들이 로봇에게 관심과 호기심을 보였고 지시를 정확히 따랐다"며 "로봇을 통해 환자들의 관심을 이끌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자폐증 연구(Autism Research)'에 실렸다.